안녕하세요 노빡리뷰남 입니다.
저번 포스팅에 이어 이번에는
커피벨트 및 커피생산 국가에
관해서이야기 해볼 생각입니다.
커피를 처음 접하면서 어떤 나라의 원두가
좋은 원두인지 어느 나라 커피를
초보자는 접해봐야 하는 것인지..
커피생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커피 벨트 ( Coffee Belt )
커피 벨트란 남북 양회귀선안의 열대, 아열대 지역에 있는 연평균 기온이 20도씨를 넘기며 커피 나무가 열대성 식물이기 때문에 이 온도대에서만 건전한 생육을 유지할 수 있고, 온도-많은 강수량 - 물이 잘빠진 토양 등 조건이 까다 롭고 그렇기에 커피 식물이 잘자라는 위치의 재배가능 지역을 쭉 연결한 띠(벨트)모양을 하고 있어 커피벨트 다른말로는 커피존 이라고 불립니다.
커피 벨트 양아귀선은 북위 23도 27분 남위 23도 27분 이지만 대략적으로 북위 25도 남위 25도로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양아귀선사이는 커피재배에 적합한 평균 기온이 20도 연간 기온차가 없으며, 강우량은 평균1500~1600mm인 지역이 많고 연대지역은 온도변화가 크지 않아 일년내내 커피나무에 꽃이 피고 열매가 열려 커피를 생산할수 있습니다.
특히 커피 벨트 안에 나라 중에서도 아프리카 고산지대와 브라질 부근은 고도가 높고 일교차가 큰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고도가 높으면 햇빛을 많이 받을 수 있고 일교차가 크면 커피 열매에 영양분이 풍부해진다고 합니다. 또한 유기질이 풍부한 비옥토. 화산질 토양이 적당합니다.
이렇게 커피 벨트 안의 국가들의 국제시장 점유율을 알아보면 1위는 브라질 이고, 그뒤로는 콜롬비아가 2위를 하였다. (브라질과 콜롬비아를 합친 시장의 점유율이 40%이다.)
그 다음으로는 멕시코, 콰테말라 등 중남미의 약 20개국이 약65%를 공급하고 아프리카는 코트디브아르&우간다를 중심으로 약 10%를 생산합니다.
2. 커피 생산 나라
커피 생산 지역으로는 중남미, 남미, 아프리카, 아시아지역으로 구분 됩니다.
로부스타(Robusta)품종을 재배하는 곳은 아프리카 지역에서 기니,시에라리온,코트디부아르, 베넹,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콩고, 앙골라, 르완다, 마다가스카르 등이며, 아시아 지역에서는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 캄보
디아, 베트남, 필리핀 등이 있습니다.
아라비카(Arabica) 품종을 재배하는 곳은 중남미 지역에서 멕시코, 콰테말라, 엘살바도르, 코스타리카, 온두라스, 니카라과, 파나마 등이며, 남미지역에서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기이나, 페루, 볼리비아, 파라과이 등이고, 아프리카 지역에서 에디오피아, 소말리아, 케냐, 잠비아, 짐바브웨, 모잠비크 아시아지역에서는 예맨 등이 있습니다.
이제 전세계에서 커피 생산을 가장 많이 하는 나라 순위 10위
10위 - 콰테말라 - ( 연간 생산량 : 톤 : 204,000 )
콰테말라의 커피 생산은 1850년대에 시작되었습니다. 커피는 콰테말라 경제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콰테말라는 2011년 온두라스에 의해 추월될 때까지 21세기 시작과 20세기 초반에 중아 아메리카 최고의
커피 생산국 이었습니다.
9위 - 멕시코 - ( 연간 생산량 : 톤 : 234,000 )
멕시코의 커피 생산량은 세계에서 9번쩨로 많으며 생산량은 234,000 톤이며 주로 남부 와 중부에서남부 지방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커피는 주로 아라비카이며 콰테말라 국경 근처의 소코누스코(Soconusco)
해야 지방에서 특히 잘 자란다고 합니다.
8위 - 우간다 - ( 연간 생산량 : 톤 : 288,000 )
커피는 우간다의 최고 수입 수출 작물입니다. 1989년 우간다의 커피 생산 능력은 230만 배럴을 넘어
섰지만 경제 및 안보 문제로 수출 물량이 감소하고 우간다에서 다량의 커피가 여전히 밀렵되어 이웃나라
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Robusta 커피는 Kibale 산림 지역에서 자연적으로 자랍니다.
7위 - 인도 - ( 연간 생산량 : 톤 :348,000 )
커피는 Karnataka, Kerala, Tamil Nadu와 함께 인도의 3 개 지역에서 재배되어 인도의 전통적인 커피 재배 지역을 형성하고 그 다음으로 Andhra Pradesh와 Orissa의 비 전통적인 지역에서 개발된 새로운 지역이 인도의 7 개 자매 국가로 널리 알려진 아쌈, 마니 푸르, 메갈 라야, 미조람, 트리 푸라, 나갈 랜드 및 인도 북동부의 아루나 찰 프라데시 주를 구성하는 세 번째 지역이 있습니다.
6위 - 온두라스 - ( 연간 생산량 : 톤 :348,000 )
커피의 재배는 19 세기 말 온두라스 공화국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당시에 수많은 커피 농장이 있었지만, 그들은 작았습니다. 온두라스의 토양, 기후 및 조건은 과테말라, 니카라과 또는 코스타리카와 동일합니다.
5위- 에디오피아 - ( 연간 생산량 : 톤 :384,000 )
에티오피아의 커피 생산은 오랜 전통입니다. 에티오피아는 커피인 커피 아라비카 (Coffea arabica)가 있는 곳입니다. 식물은 이제 세계 여러 곳에서 재배되고 있습니다. 에티오피아 자체는 전세계 커피 시장의 약 3 %를 차지합니다.
4위- 인도네이아 - ( 연간 생산량 : 톤 :660,000 )
인도네시아의 커피는 식민지 역사를 시작으로 국가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인도네시아는 커피 농장의 이상적인 지리적 위치, 적도 부근, 섬 전체의 수많은 산악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커피의 성장과 생산을
위한 미세한 기후를 조성합니다.
3위- 콜롬비아 - ( 연간 생산량 : 톤 :810,000 )
콜롬비아의 커피 생산은 가볍고 균형 잡힌 커피 원두를 생산하는 것으로 명성이 높습니다. 콜롬비아의 연평균 커피 생산량 1150 만 봉지는 브라질과 베트남 다음으로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습니다. 아라비카 콩 (Arabica Bean) 측면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2위- 베트남 - ( 연간 생산량 : 톤 :1,650,000 )
20 세기 초반부터 커피 생산은 베트남의 주요 수입원이었습니다. 1857 년 프랑스인이 처음 소개한 베트남 커피 산업은 농원 시스템을 통해 개발되어 베트남의 주요 경제력이 되었습니다.
.1위- 브라질 - ( 연간 생산량 : 톤 : 2,592,000 )
브라질의 커피 생산량은 전체 커피의 약 3 분의 1을 차지하여 브라질을 세계 최대의 생산자로 만들었습니다. 이는 브라질이 지난 150 년 동안 유지해온 위치입니다. 약 10,000 평방 마일에 달하는 커피 농장은 환경과 기후가 이상적인 재배 조건을 제공하는 미나스 제라이스 (Minas Gerais), 상파울루 (São Paulo) 및 파라 나 (Paraná)의 남동부 주에 주로 위치해 있습니다.
이렇게 커피벨트 및 커피생산 나라와
커피생산량에 대해서 알아보았다.원래는 더 많은 나라 들이 있으며아직 마셔보지 못한 나라의 커피들이많을 것입니다. 앞으로 포시팅을 하면서 더 많은정보들과 커피에 대해 끊임없이알아가고 배워 나가는 모습을 보여 드리겠습니다.

'빡구의 커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 콩(원두)의 구성 요소와 지역 별 원두의 맛표현 (0) | 2023.06.19 |
---|---|
우리나라 커피의 역사,발전 (0) | 2023.06.01 |
커피의 유래 그리고 역사 이야기 (2) | 2023.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