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 노빡리뷰남입니다.
오늘은 저의 첫 포스팅으로
요즘 들어서 커피에 흥미를 느끼며
커피에 대해 공부하고 싶은 마음에
커피의 발견과 역사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보려 합니다.
앞으로 홈바리스타를 꿈꾸면서
여러분들과 함께 커피를 알아가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커피의 유래
커피는 6~7세기경 에티오피아의 칼디라는 염소 지기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어느 날 염소들을 관찰하던 칼디는 염소들과 같이 음식을 찾으려 산책을 하러 갔고 원래 산책이 끝날 때쯤 되면 염소들이 돌아오는데 그날따라 염소들이 돌아오지 않았고 칼디는 염소들을 찾으러 갔는데 어느 나무에서 염소들이 처음 보는 빨간 베기 같은 열매를 따 먹고 흥분하여 이리저리 춤을 추듯이 튀어 다녔으며 그날 밤 빨간 버리는 먹은 염소들은 밤에도 계속 활발하고 흥분으로 인해서 잠을 자지 못하는 광경을 목격하고 그 베리 열매의 효능이 궁금한 나머지 칼디는 염소들이 먹은 빨간 열매를 먹어 보게 되었고 그 결과 머리가 맑아지고 기분이 상쾌해지는 느낌을 받고 칼디는 이 열매에 관해서 이슬람 사원의 수도원장에게 알리게 되었지만 그 빨간 베리 들은 "신의 저주"라고 외치며 화롯불에 태워버리려 했다.

그런데 그 버리듯이 구워지면서 베이의 향이 수도원에 퍼졌고, 수도원에 있던 사람들은 그 향기를 고 그 향에 있던 지금의 용어로 카페인의 성분으로 인하여 기분이 활발해지는 효능을 느꼈고 한 수도자가 칼디가 말했던 버리듯이 자기의 기도와 예배를 할 때 기분이 좋아지고 상쾌해지는 효과와 피로감을 해결해 줄 수 있겠다고 판단하고 믿었기에 다시 그 버리는 화롯불에 넣고 건져내어 물이랑 섞어 그 향기와 같이 그 물을 마셨으며 이렇게 그 버리는 재배하게 되었고 그렇게 커피콩, 커피음료가 탄생되었다고 한다.
커피의 역사
원잔지는 에티오피아에서 농부들이 커피를 재배하며 약으로 먹기도 하였다. 9세기 무렵 알아 반도로 전해져 처음 재배되었으며, 나중에는 이집트나 시리아 여러 곳으로 전해졌다. 여러 곳으로 전해지며 커피 열매를 끓여서 그 물을 마시거나 열매의 즙을 발효시켜 카와(kawa)라는 알코올음료로 만들어서 마시기도 하였다. 이 음료는 13세기 이전까지 성직자들만 마실 수 있었으나 그 이후부터는 일반인 대중들에게 보급되어 마시게 되었다.
이 무렵의 커피는 이슬람 세력의 강력한 보호를 받았으며, 커피의 재배는 아라비아 지역에만 한정되었고, 다른 지역으로는 커피의 종자가 나가지 못하도록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었고, 그러던 중에 12~13세기 십자군 전쟁이 발발하면서 이슬람 지역을 침입해 온 유럽 십자군이 이슬람의 커피를 맛보게 되었다.
15세기에 이르러 커피의 수요가 늘자 아라비아의 상인들은 이를 독점하기 위해서 수출 항구를 모카로 한정하고 다른 지역으로는 수출을 엄격하게 제한하며 커피의 독점권을 가지려 했으나 16세기부터는 인도에서 밀반출하여 커피를 재배하기 시작하였고 17세기말에는 네덜란드가 인도에서 커피의 묘목을 들여와서 유럽에 전파하면서 여러 국가로 커피가 보급되며 재배되기 시작하였다.

그 뒤에 유럽의 강대국들이 인도와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국가들을 식민지로 만들며 커피를 대량으로 재배하면서 전 세계에 알려졌고, 커피나무가 세계 국가들로 퍼져나가면서 인도, 서인도제도, 중앙아메리카, 케냐 등등 광범위하게 커피가 대중화가 되면서 유럽 곳곳에 커피하우스가 생기기 시작하였다.

커피와 유럽의 첫 만남은 매우 폭력적이었다.
당시 16세기 지중해의 여왕 베네치아는 해상으로 확장하려는 오스만 튀르크와 무려 7차례나 전쟁을 치러 격퇴시켰는데, 이때 전래하여 Europe 최초의 카페가 탄생하였다.
이때 오스트리아와도 싸우게 되었는데 후에 이슬람이 후퇴하면서 엄청난 양의 원두를 남겨두고 도망갔고 그것을 회수하여 cafe 블루 보틀이 생기게 되었고 또한 우유를 첨가하기 시작하면서 카푸치노가 등장하는데 현대의 Milk 베리에이션의 시초가 되며, 비엔나커피라고 불리는 아인슈페너도 나오게 되는데 마차 마부들이 coffee가 쏟아지지 않게 위에 생크림을 올린 것이 비엔나커피의 시작이다.

커피의 유래와 역사를 공부하다 보니 의문점이 생겼다.
커피라는 이름은 어디에서 이어져 온 것일까? 여기에도 몇 가지 주장이 있으나 그 가운데 가장 설득력이 있는 이야기 들은 에티오피아의 지명 ‘카파(Kaffa)'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아랍어로 '힘'이라는 말로 에티오피아 커피나무 자생지이기도 하다. 이 말이 터키로 전파되어 유럽으로 건너가 프랑스에서 Cafe, 이탈리아에서 Caffe, 독일에서 Kaffee, 영국과 미국에서 Coffee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지금까지 이어져온 커피는 크게 3가지 종류로 분류되지만 다양한 교배종이나 잡종들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아라비카(Arabicas), 로부스타(Robustas), 리베리카(Libericas) 종이 대표적이며, 아라비카종이 전 세계 산출량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남은 30%는 대부분 로부스타종이고, 리베리카종은 2~3%밖에 생사 되지 않는다.
브라질, 콜롬비아 등 중미와 남미에서 대부분의 아라비카가 생산되고,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등 남동아시아 지역에서는 로부스타가 주로 생산된다. 브라질은 가장 큰 아라비카 생산지이자 인도네시아 다음으로 큰 로부스타 생산지이기도 한다. 최근에는 베트남이 범국가적으로 커피생산에 뛰어들면서 인도네시아의 생산량을 위협하고 있다.
국제적으로 교역될 때에는 편의상 콜롬비아 커피를 중심으로 한 마일드(Mild), 브라질 커피를 중심으로 한 자연 건조식 아라비카(Natural arbica),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한 로부스타(Robusra)등 3가지 종류로 구분하고 있다.
오늘은 이렇게 커피의 유래
그리고 역사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것저것 찾아가며 나 또한
커피의 유래를 알고 역사를 배우다
보니 커피에 더 매료되어 가는 것 같다.
앞으로 좀 더 많은 정보와
나만의 노하우를 적는
그날까지 계속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빡구의 커피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 콩(원두)의 구성 요소와 지역 별 원두의 맛표현 (0) | 2023.06.19 |
---|---|
우리나라 커피의 역사,발전 (0) | 2023.06.01 |
커피벨트 및 커피생산 국가 (0) | 2023.05.24 |